논문제목 : 사주명리학의 비조 원천강(袁天綱)의 삶과 사상’
 


 1. 들어가는 글



  『원천강(袁天綱)』이라는 책은 천강(天綱) 원수성(袁守成)이 지은 사주명리의 고전이 되는 서책이다. 『원천강(袁天綱)』의 원래의 서명은 『袁天綱五星三命指南(원천강오성삼명지남)』이며 책의 표제명은 『袁天綱(원천강)』으로 되어 있다. 이 글은 『원천강』 고서를 철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그 저자인 천강 원수성(袁守成) 의 생애를 살펴보는데 주 목적이 있다.

  사주명리의 시조가 되는 『원천강』은 잊혀져 있었던 책으로 우리 조상들이 과거 시험 과목으로까지 채택되었던 명리서이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보면 조선 초 세종부터 조선 말 고종 때까지 여러 왕대에 걸쳐 『원천강』은 명과과의 교재이자 과거 시험 과목이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다.

 


 

 『조선왕조실록』 太宗 18年 4月 15日

 

 ??영의정 등이 말한 것은 만세에 바꾸지 못할 정론(正論)이고, 좌의정 등이 말한 것은 일시에 임금을 근심하는 지극한 뜻이다. 내가 음양(陰陽)의 금기[拘忌]에 대하여 비록 다 믿지는 않으나, 그러나 옛날에 원천강(袁天綱)?이순풍(李淳風)?소강절(邵康節)등이 음양(陰陽)으로써 길흉(吉凶)을 앞서 알았으며, 그들의 정(定)한 바는 거짓이 아니었다. 


『조선왕조실록』 世宗 47卷 12年 3月 18日 (戊午)

  상정소에서 여러 학의 취재에 있어 경서와 여러 기예의 수목에 대하여 아뢰다

음양학(陰陽學)은 《천문보천가(天文步天歌)》․.......(중략),․《성명복과(星命卜課)》․《주역점(周易占)》․《육임점(六壬占)》․《성명서(星命書)》․《대정삼천수(大定三天數)》․《범위수(範圍數)》․《자미수(紫微數)》․《황극수(皇極數)》․《원천강오행정기(袁天綱五行精紀)》․《전정역수(前定易數)》․《응천가(應天歌)》․........

 


 앞의 예처럼 『원천강』은 명과과의 기본교과목으로 채택될 정도로 중요한 서책이었다. 하지만 이전에 연구된 것은 전무하다. 따라서 길이 없어진 울창한 밀림에서 옛 고대 문화유적지를 찾아가는 것과도 같이 험난한 작업이다. 이러한 천강 원수성의 사주명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책의 저자를 연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사주라는 것이 인간 개개인의 미래에 대한 길흉화복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예측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화되어 있다. 이 경우 사주는 사람이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의미한다. 사주를 다른 말로 명리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명리는 사주뿐만이 아니라 이와 비슷한 종류들 즉, 기문둔갑, 자미두수, 육임 등까지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명리라고 하면 사주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주는 협의의 명리로 받아들일 수 있고, 그럴 경우는 사주명리라고 명명해야 할 것이다. 사주명리학은 그 동안의 연구 업적으로 보면 연원이 오래된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중국의 역사를 통해서 본다면 명리학의 역사는 수와 당대에까지 소급될 수 있으며, 오늘날 사주명리와 유사한 형태와 이론을 띠고 있다. 또한 중국 역사문헌을 보면 이미 춘추전국시대에 사주명리의 모태로 추정되는 형태가 있었던 것도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오늘날 사주명리학의 이론과 형태의 모태가 되는 것은 당나라 초기에 살았던 천강 원수성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는 『원천강』이라는 명리 고서로 볼 수 있다. 그렇게 본다면 사주명리학의 역사는 대략 1400여 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주명리를 올바로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초기 이론서라 할 수 있는 『원천강』이라는 사주명리 고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원천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저자를 먼저 연구해야 하는 것이 순서이다. 책의 저자에 대한 연구는 그 책의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관문이다. 책의 저자를 연구하는 것은 그 책에 담겨 있는 시대적인 문화나 역사적인 상황과 저자 개인적인 성향과 연구업적 등을 연구하는 일이다. 여기서는 저자 개인적인 성향에 치중하기보다는 『원천강』이라는 사주명리서가 만들어진 그 당시의 시대적인 문화와 역사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생애를 고찰하였다.